퀴노아 볼

정부에서는 안심하고 추석 명절을 보낼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함께 24시간 사이버 안전 대응체계를 마련하였습니다. 특히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추석 연휴 기간 동안 문자사기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24시간 탐지체계를 운영할 예정입니다.
스미싱확인서비스 등을 통해 신고·접수된 문자사기 정보를 분석한 후, 피싱 사이트와 악성 앱 유포지 등에 대한 긴급 차단조치를 지원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방침입니다.
추석 명절 전후에는 다음과 같은 사이버사기에 각별히 주의하셔야 합니다:
1) 공공기관을 사칭한 교통법규 위반 범칙금, 쓰레기 무단투기 과태료 조회 등의 문자
2) 지인의 부고나 명절 선물을 위한 쇼핑몰을 사칭해 대금을 갈취하는 문자사기
3) 정상문자로 위장한 후 메신저앱으로 유도해 금전, 상품권, 금융거래 정보 등을 요구하는 메신저 피싱
2022년부터 2023년 상반기까지 탐지된 문자사기 현황을 살펴보면,
공공기관을 사칭하는 유형이 116만여 건(71.0%)으로 가장 많았고,
청첩장, 부고장 등 지인을 사칭하는 유형도 27만여 건(16.8%)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올해에는 주식·가상자산 투자 유도, 상품권 지급 등 투자·상품권 사칭형 문자가 2만여 건(1.3%)으로 전년 대비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10대 스마트폰 보안수칙 준수
악성 앱 설치로 인한 재산상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10대 스마트폰 보안수칙을 생활화하시기 바랍니다.
1) 금융정보 유출이 의심되는 경우: 거래 금융회사 영업점 방문 또는 콜센터에 연락하여 계좌 일괄 지급정지 요청
2) 보이스피싱 피해 발생 시: 경찰청(☎ 112)에 신고 및 즉시 지급정지 신청
3) 스미싱 등 사이버범죄 피해 발생 시: 경찰청(☎ 112) 또는 경찰청 사이버범죄 신고시스템(ECRM)을 통해 온라인 신고
4) 문자사기 의심 또는 악성 앱 감염 의심 시: 보이스피싱지킴이 신고 또는 국번 없이 118 상담센터(KISA운영) 연락
정부와 관련 기관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사이버사기 예방 홍보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1) 이동통신 3사와 협력하여 가입자에게 스미싱 문자 주의 안내 메시지 발송
2) 우체국 소포상자 및 전통시장 택배상자에 스미싱 주의 메시지 인쇄 및 스티커 부착
3) 금융회사 영업점에서 여신거래 안심차단 서비스 및 휴대폰 보안 강화 기능 안내
4) 경찰청의 누리집 및 사회관계망을 통한 예방수칙 제공
권 역 | 기 관 | 콜센터 번호 | 권 역 | 기 관 | 콜센터 번호 |
은 행
| 산 업 | 1588-1500 | 증권사 | DB금융투자 | 1588-4200 |
농 협 | 1661-3000 | ||||
1522-3000 | K B | 1588-6611 | |||
신 한 | 1577-8000 | ||||
1599-8000 | L S | 1588-2428 | |||
1544-8000 | |||||
우 리 | 1588-5000 | NH투자 | 1544-0000 | ||
1599-5000 | S K | 1588-8245 | |||
1533-5000 | 1599-8245 | ||||
기 업 | 1566-2566 | 교 보 | 1544-0900 | ||
1588-2588 | |||||
국 민 | 1588-9999 | 다올투자 | 1588-3100 | ||
1599-9999 | |||||
1644-9999 | 대 신 | 1588-4488 | |||
SC제일 | 1588-1599 | ||||
하 나 | 1588-1111 | 메리츠 | 1588-3400 | ||
1599-1111 | |||||
씨 티 | 1588-7000 | 미래에셋 | 1588-6800 | ||
수 협 | 1588-1515 | ||||
1644-1515 | 부 국 | 1588-7744 | |||
아이엠 | 1566-5050 | ||||
1588-5050 | 삼 성 | 1588-2323 | |||
부 산 | 1544-6200 | ||||
1588-6200 | 신 영 | 1588-8588 | |||
광 주 | 1588-3388 | ||||
1600-4000 | 신한투자 | 1588-0365 | |||
제 주 | 1588-0079 | ||||
전 북 | 1588-4477 | 아이엠 | 1588-7171 | ||
경 남 | 1600-8585 | ||||
1588-8585 | 유안타 | 1588-2600 | |||
케 이 | 1522-1000 | ||||
카카오 | 1599-3333 | 유진투자 | 1588-6300 | ||
토 스 | 1661-7654 | ||||
제2금융 | 농협중앙회 | 1661-2100 | 케이프투자 | 1544-7600 | |
1588-2100 | 키 움 | 1544-9000 1544-9911 | |||
수협중앙회 | 1588-1515 | ||||
1644-1515 | 하 나 | 1588-3111 | |||
산림조합중앙회 | 1544-4200 | ||||
신협중앙회 | 1566-6000 | 한국투자 | 1544-5000 | ||
1644-6000 | |||||
저축은행중앙회* | 02-3978-800 | 한화투자 | 080-851-8282 | ||
새마을금고중앙회 | 1599-9000 | ||||
우정사업본부 | 1588-1900 | 현대차 | 1588-6655 |
문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이버침해대응과(044-202-6461),
방송통신위원회 디지털이용자기반과(02-2110-1527),
금융위원회 금융안전과(02-2100-2974),
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과(02-3150-1658),
한국인터넷진흥원 국민피해대응단(02-405-5363),
금융감독원 금융사기대응단(02-3145-8130)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추석 연휴 중에는 비대면 거래를 지양하시고, 거래 전 경찰청 누리집의 인터넷 사기 의심·계좌번호 조회 서비스를 통해 사기피해 발생 여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