퀴노아 볼

이미지
바쁜 현대인들에게 영양가 높은 아침 식사를 준비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이런 고민을 해결해줄 완벽한 대안이 바로 퀴노아 볼입니다.  간편하면서도 영양이 풍부한 이 한 그릇 요리로 활기찬 하루를 시작해보세요. 1. 퀴노아란 무엇인가요? 1) 슈퍼푸드 퀴노아의 정체 퀴노아는 남미 안데스 산맥 고원지대에서 7천년 전부터 재배되어온 곡물입니다.  모든 곡식의 어머니라는 뜻을 가진 퀴노아는  식물성 단백질과 비타민, 미네랄, 식이섬유가 풍부한 고단백 고영양 식품입니다. UN과 세계 식량 기구에서 완전 식품으로 인정받았으며,  UN이 2013년을 세계퀴노아의 해로 선포할 만큼 영양적 가치가 뛰어난 슈퍼 곡물입니다.  크기는 쌀의 3분의 1 정도로 작지만, 그 안에 담긴 영양소는 놀라울 정도로 풍부합니다. 2) 퀴노아의 놀라운 영양 성분 퀴노아에는 단백질, 탄수화물, 비타민, 무기질이 풍부하게 들어있으며,  쌀보다 7배의 칼슘과 6배의 칼륨, 20배의 철분이 더 함유되어 있습니다.  익힌 퀴노아 한 컵에는 약 8g의 단백질과 5g의 식이섬유가 들어있습니다. 글루텐을 함유하지 않아 소화불량이나 아토피 개선에 도움을 주며,  탄수화물은 적은 대신 단백질이 현미의 두 배나 됩니다.  또한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혈당지수가 낮아 당뇨 환자에게도 좋은 식품입니다. 2. 퀴노아 기본 조리법 1) 퀴노아 삶는 방법 퀴노아를 맛있게 조리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삶는 방법을 알아야 합니다.  먼저 퀴노아를 체에 받쳐 깨끗한 물에 여러 번 씻어 물기를 뺍니다.  퀴노아와 물의 비율을 1:2로 맞추고 15-20분 정도 끓여줍니다. 별도로 물에 불릴 필요가 없어 매우 간편합니다.  끓는 물에 소금을 약간 넣고 센 불에서 끓이기 시작하여 물이 모두 흡수될 때까지 조리하면 됩니다.  제대로 익은 퀴노아는 투명해지면서 톡톡 터지는 식감을 보여줍니다. 2)...

추석 명절 스미싱 등 사이버 범죄 24시간 안전 대응 체계 구축

정부에서는 안심하고 추석 명절을 보낼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함께 24시간 사이버 안전 대응체계를 마련하였습니다. 특히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추석 연휴 기간 동안 문자사기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24시간 탐지체계를 운영할 예정입니다.


1. 스미싱 및 사이버 사기 대응 방안

스미싱확인서비스 등을 통해 신고·접수된 문자사기 정보를 분석한 후, 피싱 사이트와 악성 앱 유포지 등에 대한 긴급 차단조치를 지원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방침입니다.


2. 주의해야 할 사이버 사기 유형

추석 명절 전후에는 다음과 같은 사이버사기에 각별히 주의하셔야 합니다:

1) 공공기관을 사칭한 교통법규 위반 범칙금, 쓰레기 무단투기 과태료 조회 등의 문자 

2) 지인의 부고나 명절 선물을 위한 쇼핑몰을 사칭해 대금을 갈취하는 문자사기

3) 정상문자로 위장한 후 메신저앱으로 유도해 금전, 상품권, 금융거래 정보 등을 요구하는 메신저 피싱 


3. 문자사기 현황 및 유형

1) 공공기관 및 지인 사칭 문자 증가

2022년부터 2023년 상반기까지 탐지된 문자사기 현황을 살펴보면, 

공공기관을 사칭하는 유형이 116만여 건(71.0%)으로 가장 많았고, 

청첩장, 부고장 등 지인을 사칭하는 유형도 27만여 건(16.8%)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2) 투자 및 상품권 사칭 문자 급증

올해에는 주식·가상자산 투자 유도, 상품권 지급 등 투자·상품권 사칭형 문자가 2만여 건(1.3%)으로 전년 대비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4. 사이버사기 예방 및 대응 방법

10대 스마트폰 보안수칙 준수

악성 앱 설치로 인한 재산상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10대 스마트폰 보안수칙을 생활화하시기 바랍니다.


10대 스마트폰 보안수칙



5. 피해 발생 시 대응 방법

1) 금융정보 유출이 의심되는 경우: 거래 금융회사 영업점 방문 또는 콜센터에 연락하여 계좌 일괄 지급정지 요청 

2) 보이스피싱 피해 발생 시: 경찰청(☎ 112)에 신고 및 즉시 지급정지 신청

3) 스미싱 등 사이버범죄 피해 발생 시: 경찰청(☎ 112) 또는 경찰청 사이버범죄 신고시스템(ECRM)을 통해 온라인 신고 

4) 문자사기 의심 또는 악성 앱 감염 의심 시: 보이스피싱지킴이 신고 또는 국번 없이 118 상담센터(KISA운영) 연락 


피해 발생 시 대응 방법


6. 사이버사기 예방 홍보 활동

정부와 관련 기관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사이버사기 예방 홍보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1) 이동통신 3사와 협력하여 가입자에게 스미싱 문자 주의 안내 메시지 발송

2) 우체국 소포상자 및 전통시장 택배상자에 스미싱 주의 메시지 인쇄 및 스티커 부착 

3) 금융회사 영업점에서 여신거래 안심차단 서비스 및 휴대폰 보안 강화 기능 안내

4) 경찰청의 누리집 및 사회관계망을 통한 예방수칙 제공



※주요 금융회사 콜센터 연락처

권 역

기 관

콜센터 번호

권 역

기 관

콜센터 번호

 

 

 

1588-1500

증권사

DB금융투자

1588-4200

 

1661-3000

1522-3000

K  B

1588-6611

 

1577-8000

1599-8000

L  S

1588-2428

1544-8000

 

1588-5000

NH투자

1544-0000

1599-5000

S  K

1588-8245

1533-5000

1599-8245

 

1566-2566

 

1544-0900

1588-2588

 

1588-9999

다올투자

1588-3100

1599-9999

1644-9999

 

1588-4488

SC제일

1588-1599

 

1588-1111

메리츠

1588-3400

1599-1111

 

1588-7000

미래에셋

1588-6800

 

1588-1515

1644-1515

 

1588-7744

아이엠

1566-5050

1588-5050

 

1588-2323

 

1544-6200

1588-6200

 

1588-8588

 

1588-3388

1600-4000

신한투자

1588-0365

 

1588-0079

 

1588-4477

아이엠

1588-7171

 

1600-8585

1588-8585

유안타

1588-2600

 

1522-1000

카카오

1599-3333

유진투자

1588-6300

 

1661-7654

2금융

농협중앙회

1661-2100

케이프투자

1544-7600

1588-2100

 

1544-9000

1544-9911

수협중앙회

1588-1515

1644-1515

 

1588-3111

산림조합중앙회

1544-4200

신협중앙회

1566-6000

한국투자

1544-5000

1644-6000

저축은행중앙회*

02-3978-800

한화투자

080-851-8282

새마을금고중앙회

1599-9000

우정사업본부

1588-1900

현대차

1588-6655

문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이버침해대응과(044-202-6461), 

방송통신위원회 디지털이용자기반과(02-2110-1527), 

금융위원회 금융안전과(02-2100-2974), 

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과(02-3150-1658), 

한국인터넷진흥원 국민피해대응단(02-405-5363), 

금융감독원 금융사기대응단(02-3145-8130)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추석 연휴 중에는 비대면 거래를 지양하시고, 거래 전 경찰청 누리집의 인터넷 사기 의심·계좌번호 조회 서비스를 통해 사기피해 발생 여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주식 거래 시간: 단일가매매와 접속매매 이해하기

간츠펠트 효과: 감각 차단이 만들어내는 착각의 세계

주식의 기본 개념과 종류